요실금의 치료는 크게 약물이나 골반운동, 전기자극과 같은 비수술적 치료와 수술치료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치료의 선택에 있어서 절박성 요실금과 복압성 요실금의 구분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진단에 따라 요실금의 치료방법이 다릅니다.
복압성 요실금의 가장 효과적인 치료는 수술이지만 요실금 증상이 심하지 않거나 비교적 젊은 여성에게는 골반근육운동이나 전기자극을 이용한 바이오피드백 요법도 효과적입니다. 반면에 절박성 요실금은 수술보다는 약물투여와 방광훈련이 주된 치료가 됩니다.
약물치료
소변의 저장과 배출을 담당하는 방광의 평활근을 안정시키고 요도의 괄약근 수축력을 높이기 위하여 투여합니다.

골반근육훈련 (요도와 질 근육 훈련)
출산이나 호르몬 부족 등의 원인으로 약해져 쳐진 골반근육의 신축성 회복 및 질의 탄력 회복이 주요 목적입니다. 아래에 나와 있는 전기자극치료와 바이오피드백 요법도 결국 골반근육운동을 위한 보조수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실금 정도가 미약한 경우에는 효과를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골반근육의 수축력이 단계를 거치면서 강화되고 동시에 질의 탄력성이 높아집니다. 운동의 요점은 항문과 질을 수축하면서 아랫배에는 힘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전기자극치료
골반근육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인위적인 근육의 수축을 일으킵니다. 그로 인해 여성들로 하여금 골반근육을 알게 하고 바르게 골반근육운동을 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습니다. 또한 빈뇨 혹은 절박성 요실금에서 전기자극치료는 매우 효과적이고 비교적 경제적이므로 효과적인 방법으로 최근 각광받고 있습니다.

전기자기장 치료
이 치료는 수술하기엔 조금 이른 단계인 기침이나 재채기 할 때만 소변이 나오는 경우에 시행해 볼 수 있는 방법으로,자기장이 발생되는 의자에 앉아 있으면 자기장의 자극에 의해 회음부 근육이 반복적으로 수축되는데 이로 인해 골반근육이 강화되는 효과로 심하지 않은 요실금 환자에서 시행해 볼 수 있는 치료 방법입니다. 일주일에 2회씩 6주정도의 치료기간이 필요합니다.
일주일에 2회씩 6주간 치료하여 70%이상의 치료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요실금에 동반되는 배뇨증상도 호전되며, 만성 골반통이나 성교통도 호전됩니다. 골반저근의 강화는 질의 수축력도 향상시킴으로 성감의 증진도 이룰 수 있습니다
주로 복압성 요실금에서 수술적 치료를 하게 됩니다. 요실금이 심하지 않은 젊은 여성이거나 물리치료에 적극적인 의욕이 있으며 골반저근운동이나 전기자극치료법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반면에 요실금이 심하거나 나이가 많고 골반근육수축기능이 약한 여성, 그리고 장시간의 자발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물리치료에 의욕이 없거나 다른 치료에 실패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하게 됩니다.

방광 경부 현수술
Pereyra가 처음 소개한 뒤, Stamey와 Raz 등에 의해 발전되어 온 최근까지 가장 흔히 시술하는 방식입니다.
질의 앞벽을 통한 당기는 침을 이용하여 방광경부 주위 조직을 배의 곧은 근막에 견인하여 아래로 처진 방광을 다시 위로 올려주는 방법으로 최근까지 많이 사용되어졌으나 방광이나 장손상, 술후 요폐등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Sling수술
복직근막이나 대퇴근막 또는 합성물질(고어텍스 등)을 긴 띠 모양으로 만든 다음, 방광경부에 걸어 위로 끌어 올리는 수술법으로 sling으로 사용되는 조직이 요도괄약근 부위를 받쳐 줌으로서 약해진 괄약근 기능을 회복시킵니다. 이 술식 역시 방광이나 장손상의 가능성과 술후 요페의 위험성이 있습니다.

TOT수술
TOT 요실금 수술은 프랑스와 남미에서 6년 전부터 기술되어온 요실금 수술입니다.
요실금 수술을 하는 의사들에게는 인간이 개발한 가장 우수한 요실금 치료법으로 현재 받아들여 지고 있습니다. 초근까지 가장 우수한 방법 이였던 TVT요실금 수술은 방광손상 가능성과 수술 후 입원치료가 필요한점과 값비싼 수술비로 인해서 한계가 있었지만, TOT수술은 이런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한 가장 진보되고 안전한 수술입니다.
수술은 부분국소마취로 가능하며, 10~15분 정도에 완전히 끝납니다. 수술 후 바로 요실금이 없어지며, 일상생활도 가능합니다. 수술효과는 대부분 평생 지속되며, 기존의 요실금 수술과는 차이가 많습니다.
수술 후 당일 바로 퇴원 하실 수 있습니다.
개복술 TVT TOT
재질 자가건막 Polypropilene Meshes Polypropilene
수술경로 복부개복 + 질절개 질과 복부 질과 대퇴부
슬링위치 방광과 요도사이 요도중간 요도중간
수술시간 2시간
(방광검사 필요)
40분
(방광검사필요)
10~15분
(방광검사불필요)
합병증 개복 부작용 / 뇨저류 / 배뇨장애 방광손상 / 뇨저류 / 배뇨장애 거의 없음
TOT 수술법의 장점
TOT 수술을 TVT 수술과 구분하여 2세대와 3세대로 나누는데 는 수술의 간편함과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만을 가지고 나누지는 않습니다. 수술의 원리부터 차원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슬링 수술은 개복수술이든 TVT든간에 다른 부작용을 떠나서 수술 후 요도가 조이는 작용으로 소변의 불편감이나 소변보는데 힘이 들어가거나 시원하게 나오지 않는 부작용이 있었습니다. 이는 요도를 지지하는 슬링이 수직으로 요도를 당겨주기 때문에 요도자체가 조여지는 부작용이 생겼습니다. 그러나 TOT 수술법은 요도를 위로 조여주는 것이 아니라 좀더 요도가 편하게 옆으로 지지해 주기 때문에 요실금은 똑같이 막아주고 요도를 압박하는 부작용은 생기지 않는 것입니다. 이것이 이 수술법을 각광 받게 하고 3세대 수술법으로 구분하게 하는 중요한 핵심입니다.

개인정보 취급방침